투자

두려움을 매수하면 어떻게 되는가? (feat. GOOGL)

100 BAGGERS 2022. 2. 2. 10:22
반응형

안녕하세요 주주님들!

미성년자 아이들에게 미국 주식을 사주는 '주주 아빠'입니다.

 

5일간의 꿀 같은 설 연휴를 잘 보내고 계시죠?

 

나탈리 골드버그의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를 읽으면서

10개월 만에 포스팅해봅니다. 그녀의 조언대로 그냥 써보겠습니다. 

 

나스닥 일봉

역대급 하락은 역시 역대급 매수 찬스였습니다. 11월 고점 대비 19%나 하락했던 나스닥은 벌써 1월 24일 저점 대비 9.6%나 상승해 버렸습니다. 이제 고점 대비 11.5%만 빠진 상태입니다. 

 

지나고 보면 언제나 후회하지만, 단기 급락장은 절대 매수 기회였습니다. 지난주 목요일 금요일에 설 연휴 직전 3일간의 휴장 기간동안 혹시나 발생할 변동성과 주가 급락이 무서워 선뜻 매수 버튼을 못 눌렀었게 좀 아쉽네요. 

 

다만 "Do nothing is the best strategy"라는 말을 믿고 하락장에 매도하지 않은 것은 참 잘한 일입니다. 그런데 추가 매수를 단행하지는 못 했습니다. 더 빠질까 봐 두려워서 매수를 망설이게 될 때가 항상 시장의 바닥이었습니다.

 

예단하기에는 이르지만 Fed의 조기 금리인상과 대차대조표 축소 등 중앙은행의 긴축 불확실성으로 야기된 시장의 조정은 마무리되었다고 봅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AMD 등 빅 테크 기업들이 시장 컨센서스를 뛰어넘는 4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시장 반등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뼛속까지 내려가 추가 매수를 했어야 했는데 그러지는 못하고,

아이들 포트폴리오 변경만 해주었습니다.

 

2022.1.26 포트폴리오 조정 내역

 

세일즈포스, 페이스북, 마그나 3종목을 10% 수익률로 이익을 확정하고,

그동안 사주고 싶었던 구글을 매수했습니다.

드디어 아이들이 구글 주주가 되었네요.

 

매도한 3개 기업 모두 평생 보유하고 싶은 위대한 기업이지만

구글의 주주가 되는 것이 우선 순위이므로 과감히 결단했습니다. 

 

구글은 현지 시각 2월 1일 장 종료 후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시장 컨센서스를 뛰어넘는 이익을 보여주었고 특히 광고 수익과 클라우드 성장세가 돋보였습니다. 시간외시장에서 무려 9% 떡상하여 $3,000 돌파했네요.

 

여기서 '주주 아빠'의 투자 원칙 1번이 나옵니다.

아이들에게 1분 내로 설명할 수 있는 기업만 보유한다.

- 주주 아빠 투자 원칙 1 -

2022년 2월 2일 현재 우리 아이들이 보유한 16개 기업 중 Top 10 기업을 공개합니다.

16개 기업도 좀 많은 편이라 앞으로 12개 내외로 줄여야겠습니다.

 

아마존, 구글, 엔비디아, 애플, 버크셔 헤서웨이가 Top 5 기업이며 

이들의 전체 포트 중 비중은 약 60% 입니다. 

 

 

엔비디아, 애플을 더 사고 싶었는데 타이밍을 놓쳤네요.

그럼 '주주 아빠'의 투자 원칙 2번을 말씀드리며 글을 맺습니다.

 

급락장은 절호의 매수 기회다.
신규 매수를 못 하더라도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위대한 기업의 지분을 늘려라.

- 주주 아빠 투자 원칙 2 -
반응형